목록영문법 (13)
살아있는 영어 최단기 마스터

영어내신에서 to부정사 문제는 출제빈도가 매우 높습니다. 그뿐 아니라 모든 영어지문에서도 자주 보이는 그야말로 반드시 마스터해야 하는 중요한 표현이죠. 꼬옥 머릿속에 각인시켜서 대한민국에서 to부정사를 제일 잘하는 학생이 되기를 소망하며 혼신의 힘을 다해 설명할께요^^ to infinitive라고 불리는 to부정사는 사전적 의미로 unrestrained(제한받지 않은), 혹은 free from limitation(제한을 벗는)입니다. 즉, 다양하게 쓰인다는 말이죠. 이 말은 동사처럼 뒤에 목적어나 부사를 취하는 반면에 그 자체가 명사, 형용사, 부사의 용법을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1. 명사적 용법(~하는 것) :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인다. 1) 주어: To experience hardshi..

보통 한국에서 쓰이는 영어문장은 능동태입니다. 능동태는 주어가 행위자일 때 사용되는 형태이고 수동태는 주어가 행동을 받을 때 사용되는 형식입니다. 보통 주어가 사물이거나 사람이어도 누군가 혹은 어떤 것에 영향을 받을 때 수동태로 문장을 표현합니다. 수동태의 형태는 be + 과거분사(형용사)입니다. 능동태의 형태는 이것을 제외한 모든 문장입니다. 미국에서 10년정도 살면서 글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영어로 대화를 할 때 수동태의 빈도수를 보면서 느꼈던 점은 미국인들은 상당히 수동태 문장을 많이 활용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자신의 영어레벨을 한단계 업시키는 표현인 수동태 구문을 확실히 알고, 가능하면 자주 문장에서 표현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죠. 1. 수동태에서 12시제중 수동태가 없는 시제가 4가지가 있습니..

동사는 그 홀로서는 구별할 수 없습니다. 어떠한 낱말도 문장 속에 들어있을 때 그의 성격, 힘이 드러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make라는 동사를 봅시다. 2형식문장에서 make는 become, go, get, turn, fall처럼 (~이 되다)라는 의미이고 3형식에서는 (만들다.) 4형식에서는 (~에게 ~을 만들어주다) 5형식에서는 사역동사 have, let처럼 (~하게하다) 참 다양하게 쓰입니다. 모든 문장은 1형식에서 5형식중에 하나를 쓰기 때문에 동사만 보지 말고 문장을 분석하며 그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게 상당히 중요하고 습관을 가져야함을 강조합니다. 1. 문장의 1형식 1) The bread doesn't bake well in this oven. (이 오븐에서는 빵이 잘 구워지지 않는다.) ..

무턱대고 해석 위주의 공부만 한다면 각 문장의 시제를 그냥 대수롭지 않게 지나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어로 글을 쓸 때에도 혹은 읽거나 들을 때에도 다양한 영어시제를 염두해 두어야만 그 문장을 글쓴이의 의도와 말하고 싶은 내용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영어에 자신이 없는 학생들도 실력이 있다고 자부하는 학생들도 꼭 이 시제를 마스터했으면 합니다. 12시제 1. 현재형 : He writes a novel. (그는 소설을 쓴다.) --- 동사의 현재형은 습관, 진리, 사실중에 한가지를 적용하면 됩니다. 진리는 영원히 변치 않는 사실이고 사실은 모든 사람들이 수긍하거나 지금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들입니다. 보통은 사실일 때 현재형을 많이 사용합니다. 2. 현재진행형 : He is writing a no..